로널드 드워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널드 드워킨(Ronald Dworkin)은 1931년 미국에서 태어나 2013년 사망한 법철학자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예일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를 거쳐 뉴욕 대학교 로스쿨 교수를 역임했다. 법실증주의를 비판하고 법과 도덕의 관계, 법의 통합성, 개인의 권리, 평등, 정답 논제 등 다양한 법철학적 이론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권리의 진지한 고찰》, 《법의 제국》, 《자유의 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법철학자 - 존 롤스
존 롤스는 미국의 정치철학자로서, 《정의론》 등의 저서를 통해 정의의 두 원칙을 제시하며 기본적 자유와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의 조정을 강조했고, 원폭 투하를 비판하며 전쟁법에 대한 원리를 제시했다. - 미국의 법철학자 - 한스헤르만 호페
한스-헤르만 호페는 독일 출신의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 극단적인 자유지상주의와 무정부 자본주의를 주장하며, 민주주의 비판과 사유 재산 중심의 이념 제시, 극단적인 이민 제한 주장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교수 - 해럴드 윌슨
해럴드 윌슨은 1964년부터 1970년, 1974년부터 1976년까지 두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경제 정책, 외교 정책을 추진했고, 노동당 대표로서 사형 폐지 등 사회적 개혁을 이끌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교수 - 허버트 하트
허버트 하트는 20세기 영미권 법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법학자로, 분석철학 방법론을 법 이론에 적용하여 법 실증주의를 발전시킨 『법의 개념』의 저자이며, 옥스퍼드 대학교 법학 교수와 MI5 스파이 색출 활동 경력을 가지고, 법의 사회적 맥락을 중시하는 영국식 실증주의 관점을 강조했다.
로널드 드워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널드 마일스 드워킨 |
로마자 표기 | Ronald Myles Dworkin |
출생일 | 1931년 12월 11일 |
출생지 |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
사망일 | 2013년 2월 14일 |
사망지 | 잉글랜드 런던 |
국적 | 미국 |
학문 | |
분야 | 서양 철학 |
시대 | 현대 철학 |
학파 | 분석철학 법 해석주의 |
주요 관심사 | 법철학 정치철학 |
주요 사상 | 법의 통합성 법의 적합성과 정당성 권리 우선 주장 법 해석주의 |
영향을 준 인물 | 러니드 핸드 존 롤스 |
영향을 받은 인물 | 로베르트 알렉시 |
교육 | |
출신 대학 | 하버드 대학교 (AB, JD) 옥스퍼드 대학교 (BA) |
박사 지도 학생 | 제레미 월드런 |
경력 | |
소속 기관 | 예일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뉴욕 대학교 |
수상 | |
수상 내역 | 헨리 J. 프렌들리 메달(2005년) 홀베르 국제 기념상(2007년) 발잔상(2012년) |
기타 | |
영국 학술원 회원 | FBA |
퀸즈 카운슬 | QC |
2. 생애
로널드 드워킨은 1931년 매사추세츠주 우스터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45][46][8]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최우등(summa cum laude)으로 졸업했으며, 재학 중 로즈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옥스퍼드 대학교 매들린 칼리지(Magdalen College)에서 루퍼트 크로스 경(Sir Rupert Cross)과 J. H. C. 모리스(J. H. C. Morris)의 지도를 받았다.[9]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축하 우등(Congratulatory first)으로 B.A. 학위를 취득한 후, 하버드 로스쿨에 진학하여 1957년 우등(magna cum laude)으로 법학 박사(Juris Doctor) 학위를 받았다.[47][9]
로널드 드워킨은 법철학, 정치철학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들을 제시했다. 그의 주요 이론 및 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하버드 로스쿨 졸업 후, 드워킨은 제2순회 항소법원의 러니드 핸드 판사의 재판연구원(law clerk)으로 일했다.[48][49] 핸드 판사는 훗날 드워킨을 "모든 법률 보좌관 중 최고"라고 불렀으며,[9] 드워킨은 핸드 판사를 매우 영향력 있는 멘토로 기억했다.[10]
펠릭스 프랭크퍼터 연방대법관의 재판연구원직 제안을 거절하고, 뉴욕의 로펌 설리반 앤 크롬웰에 합류하여 1958년부터 1962년까지 변호사로 일했다.[50][9] 이후 예일 대학교 로스쿨 교수가 되었고, 웨슬리 N. 호펠드(Wesley N. Hohfeld) 법철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1969년, 드워킨은 H. L. A. 하트의 뒤를 이어 옥스퍼드 대학교 법철학 석좌교수(Professor of Jurisprudence)로 임명되었으며,[11]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University College, Oxford)의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옥스퍼드에서 은퇴한 후에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퀸 교수(Quain Professor) 법철학(Jurisprudence) 교수, 벤담 법철학 교수(Bentham Professor of Jurisprudence)를 역임했다.[11]
또한 1970년대 후반부터 뉴욕 대학교 로스쿨의 프랭크 헨리 소머 법학 교수(Frank Henry Sommer Professor of Law)이자 뉴욕대학교(NYU)의 철학 교수를 겸임하며,[12] 토마스 네이글과 함께 법학, 정치학, 사회철학 콜로키움을 공동 강의했다. 그는 ''뉴욕 리뷰 오브 북스(The New York Review of Books)''에 정기적으로 기고했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올리버 웬델 홈스(Oliver Wendell Holmes) 강연, 예일 대학교에서 스토어스 강연,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탄너 인간 가치 강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스크라이브너 강연을 했다. 2011년 6월에는 런던의 사립 대학인 뉴 칼리지 오브 휴머니티즈(New College of the Humanities) 교수진에 합류했다.[13]
드워킨은 러니드 핸드 판사 밑에서 일하던 중 만난 베츠 로스(Betsy Ross)와 1958년에 결혼하여 쌍둥이 자녀 안토니와 제니퍼를 두었다.[8] 베츠 로스는 2000년 암으로 사망했으며,[8][22] 드워킨은 이후 피아니스트 알프레드 브렌델(Alfred Brendel)의 전처인 이렌 브렌델(Irene Brendel)과 재혼했다.
2013년 2월 14일, 드워킨은 런던에서 81세의 나이로 백혈병으로 사망했다.[23][24][38] 유족으로는 두 번째 아내, 두 자녀, 두 명의 손주가 있다.[8][25]
3. 주요 이론 및 사상
1. 법실증주의 비판:드워킨은 H. L. A. 하트로 대표되는 법실증주의를 비판했다. 법실증주의는 법과 도덕을 분리하지만, 드워킨은 법이 규칙뿐만 아니라 원칙과 정책을 포함하는 넓은 체계라고 주장했다.[14] 그는 법 원칙이 법관의 재량을 제한하고 법 해석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하다고 보았다. 드워킨은 법이 법 체계의 제도적 역사에 대한 구성적 해석에서 도출되는 "해석주의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14] 법원은 법의 공백이나 충돌 상황에서도 법 원칙에 따라 최선의 해석, 즉 "옳은 답"을 찾아야 하며, 어려운 사건에서 판사의 재량권을 부정했다.
2. 법의 통합성 이론:드워킨은 '법의 통합성(Law as Integrity)' 이론을 제시하며, 법을 하나의 일관성 있는 체계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법관은 법을 해석할 때 과거의 판례와 법 원칙을 고려하여 전체 법 체계와 가장 잘 부합하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법 해석을 소설 창작에 비유하며, 이를 '소설 연작 비유'라고 불렀다.
3. 권리 옹호론:드워킨은 '권리 옹호론(Rights Thesis)'을 통해 개인의 권리를 중요하게 생각했다.[18] 그는 권리를 단순한 법적 권리가 아닌 도덕적 권리로 보았으며,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리 보호를 강조했다.[19] 특히 평등권과 표현의 자유를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사회 정의 실현을 추구했다. 드워킨은 헌법을 도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법실증주의를 비판하며 법이란 법 체계의 관습적인 역사를 해석하여 얻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4. 정답 논제:드워킨은 어려운 법적 문제에도 '정답(Right Answer)'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정답 논제(Right Answer Thesis)'를 제시했다.[16] 그는 이상적인 법관인 '헤라클레스'를 상정하여, 그가 모든 법적 지식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최선의 답을 찾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16] 현실의 법관은 헤라클레스와 같을 수 없지만, 정답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 평등 이론:드워킨은 '자원의 평등(Equality of Resources)' 이론을 제시하며, 평등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다.[20] 그는 인간은 자신이 하는 삶의 선택에 대해 책임이 있지만, 타고난 자질은 도덕적 운(moral luck)에 따른 것이므로 사회 자원 분배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평등 이론은 "운 평등주의(luck egalitarianism)"의 한 종류로 여겨지기도 한다.[20] 또한, 드워킨은 자유와 평등의 가치가 반드시 충돌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며, 아이작 베를린의 평등 개념을 비판하고 새로운 "동적인" 자유 개념을 제시했다.
3. 1. 법실증주의 비판
드워킨은 H. L. A. 하트로 대표되는 법실증주의를 비판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법실증주의가 법과 도덕을 분리하는 것에 반대했다.[14] 드워킨에 따르면, 법은 단순한 규칙의 집합이 아니라 원칙과 정책을 포함하는 더 넓은 체계이다. 특히, 법 원칙은 법관의 재량을 제한하고, 법 해석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드워킨은 자신의 저서 『법의 제국 (Law's Empire)』에서 하트의 법실증주의에 대한 견해를 가장 완벽하게 표현했다. 그는 법이 법 체계의 제도적 역사에 대한 구성적 해석에서 도출되는 "해석주의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14]
법원은 과거의 법적 관행을 가장 잘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해석을 찾기 위해 법적 자료(입법, 판례 등)를 해석해야 한다. 이때, 모든 해석은 "법의 통합성"이라는 개념을 따라야 한다. 드워킨은 법관이 법의 공백이나 충돌 상황에서도 법 원칙에 따라 최선의 해석, 즉 "옳은 답"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어려운 사건에서 판사의 재량권을 부정했다.
드워킨은 구성적 해석이 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모든 결정에서 도덕적 판단을 포함하기 때문에 법실증주의의 법과 도덕의 분리를 벗어난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모든 법 체계에서 유효한 법을 규명하는 상위 규칙에 대한 하트의 법 규범 인식 개념을 거부했다. 그 이유는 올바른 법적 결과가 합리적인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경우에도 사람들은 법적 권리를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하트와 드워킨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8]
3. 2. 법의 통합성 이론
로널드 드워킨은 법을 하나의 일관성 있는 체계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법의 통합성(Law as Integrity)'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법관이 법을 해석할 때 과거의 판례와 법 원칙을 고려하여 전체 법 체계와 가장 잘 부합하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드워킨은 법 해석을 소설 창작에 비유했다. 즉, 법관은 앞선 장(chapter)의 내용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신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새로운 장을 써내려 가듯이 법을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소설 연작 비유'라고 부른다.
드워킨에 따르면, 법정은 사람들이 소중히 여기는 윤리적 원칙을 찾아 적용하기 위해 과거 법의 실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해석을 만들어내려는 관점에서 법적 자료(입법 과정이나 판례 등)를 해석해야 한다. 이 경우, 해석이 의미 있는 것이 되도록 "통합성으로서의 법"이라는 개념을 따라야 한다.
3. 3. 권리 옹호론
로널드 드워킨은 법 체계에서 개인의 권리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이를 '권리 옹호론(Rights Thesis)'이라고 불렀다. 그는 권리를 단순한 법적 권리가 아닌 도덕적 권리로 보았으며,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리 보호를 강조했다.[18] 특히 평등권과 표현의 자유를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이를 통해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했다.[19]
드워킨은 헌법을 도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강화된 사법심사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법실증주의를 비판하며, 법이란 법 체계의 관습적인 역사를 해석하여 얻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법해석주의'라고 부른다.
드워킨은 사람들이 소중하게 여기는 윤리적 원칙도 때로는 잘못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법정은 과거의 법적 자료를 해석하여 이러한 원칙을 찾아 적용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통일성으로서의 법(law as integrity)' 개념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드워킨은 어려운 법적 판단에는 판사에게 자유재량권이 없다고 보았다. 그는 법과 윤리가 인식론적인 의미에서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법실증주의에서 주장하는 법과 윤리의 구분에 동의하지 않았다.
3. 4. 정답 논제
드워킨은 어려운 법적 문제에도 '정답(Right Answer)'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정답 논제(Right Answer Thesis)'를 제시했다.[16] 그는 이상적인 법관인 '헤라클레스'를 상정하여, 헤라클레스는 모든 법적 지식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최선의 답을 찾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16] 비록 현실의 법관은 헤라클레스와 같을 수 없지만, 정답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6]
드워킨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법이 하나의 완벽한 체계라는 전제하에, 특정 사건을 판결하기 위해 법 전체를 가장 잘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이론을 구성해야 한다(법의 통합성).[16]
드워킨의 정답 논제는 법적,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서는 옳은 답을 결정할 수 없다는 회의론에 대한 비판이다. 드워킨은 회의론자의 주장이 실질적인 도덕적 주장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즉, 법적, 윤리적 딜레마의 참 또는 거짓을 결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인식론적 불확실성에 직면하여 어떤 개인에게도 불이익을 주는 법적, 도덕적 문제를 결정하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도덕적 주장을 하는 것과 같다고 본다.
드워킨의 헤라클레스 판사 비유는 롤스의 무지의 베일과 하버마스의 이상적 담론 상황과 유사성을 보인다.[17]
3. 5. 평등 이론
드워킨은 '자원의 평등(Equality of Resources)' 이론을 제시하며, 평등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그는 저서 《주권적 미덕》(Sovereign Virtue)에서 이 이론을 주장하는데, 두 가지 핵심 아이디어를 결합한다. 첫째, 인간은 자신이 하는 삶의 선택에 대해 책임이 있다. 둘째, 지능과 재능처럼 타고난 자질은 도덕적 운(moral luck)에 따른 것이므로, 사회 자원 분배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드워킨의 평등 이론은 모든 사람이 동등한 관심과 존중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핵심 원칙에 기초하며, 소위 "운 평등주의(luck egalitarianism)"의 한 종류로 여겨지기도 한다.[20]
드워킨은 "가치는 충돌하는가―고슴도치 논고"라는 논문에서 자유와 평등의 가치가 반드시 충돌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39] 그는 아이작 베를린의 평등 개념을 비판하고, 새로운 "동적인" 자유 개념을 제시한다. 즉, 나쁜 일을 할 수 없다고 해서 자유가 침해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드워킨에 따르면, 자유는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만 논할 수 있다. 그러나 베를린은 이를 "적극적 자유" 개념으로, 가치와 무관한 "소극적 자유"를 배제하는 것은 전체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40]
4.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드워킨은 "가치는 상충하는가? 고슴도치 접근법"이라는 에세이에서[21] 자유와 평등의 가치가 반드시 상충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아이작 베를린의 자유 개념을 "단편적"이라고 비판하고, 새로운 "역동적" 자유 개념을 제시한다. 그는 살인을 저지르는 것을 막는다고 해서 자유가 침해되었다고 말할 수 없으며, 따라서 잘못이 없다면 자유가 침해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고 본다. 즉, 자유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우리가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한다.
4. 1. 사법부의 역할
산드린 보옴(Sandrine Baume)[18]은 한스 켈젠에 관한 저서에서 로널드 드워킨을 "사법심사와 민주주의 원칙의 양립성"을 옹호하는 주요 인물로 지목했다. 보옴은 최근 몇 년 동안 드워킨과 함께 이 원칙을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한 인물로 존 하트 엘리(John Hart Ely)를 언급했으며, "양립성" 원칙에 반대하는 인물로는 브루스 애커먼과 제러미 월드론을 지적했다.[19] 드워킨은 오랫동안 헌법의 도덕적 해석 원칙을 옹호해 왔으며, 그는 이 원칙의 지지 근거가 연방 정부의 강화된 사법심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았다.5. 저술
로널드 드워킨은 법, 철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력 있는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서는 법 이론뿐만 아니라 정치 철학, 윤리학 등 여러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5. 1. 도서
- 권리의 진지한 고찰(Taking Rights Seriously) (1977)
- 법의 제국(Law's Empire) (1986)[34]
- 생명의 지배영역(Life's Dominion: An Argument About Abortion, Euthanasia, and Individual Freedom) (1993)[35]
- 자유의 법: 미국 헌법의 도덕적 해석(Freedom's Law: The Moral Read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1996)
- 자유주의적 평등(Sovereign Virtue: The Theory and Practice of Equality) (2000)[36]
- 법복 입은 정의(Justice in Robes) (2006)
- 민주주의는 가능한가?(Is Democracy Possible Here? Principles for a New Political Debate) (2006)
- 정의론(Justice for Hedgehogs) (2011)
- 신이 사라진 세상(Religion Without God) (2013)
5. 2. 국내 번역서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출판 연도 | 원제 | ISBN |
---|---|---|---|---|---|
법과 권리 | 염수균 | 한길사 | 2010 | Taking Rights Seriously | |
법의 제국 | 장영민 | 아카넷 | 2004 | Law's Empire | |
생명의 지배영역 | 박경신ㆍ김지미 | 로도스 | 2014 | Life's Dominion | |
자유의 법 | 이민열 | 미지북스 | 2019 | Freedom's Law | |
자유주의적 평등 | 염수균 | 한길사 | 2005 | Sovereign Virtue | |
법복 입은 정의 | 이민열 | 길 | 2019 | Justice in Robes | |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 홍한별 | 문학과 지성사 | 2012 | Is Democracy Possible Here? | |
정의론 | 박경신 | 민음사 | 2015 | Justice for Hedgehogs | |
신이 사라진 세상 | 김성훈 | 블루엘리펀트 | 2014 | Religion Without God |
참조
[1]
논문
Dworkin's 'Best Light' Requirement and the Proper Methodology of Legal Theory
2003-06-01
[2]
서적
Rights as Trumps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3]
웹사이트
Ronald Dworkin dies at 81 – Haaretz – Israel News
http://www.haaretz.c[...]
2013-02-15
[4]
웹사이트
Ronald Dworkin
http://www.nybooks.c[...]
2009-09-29
[5]
논문
The Most-Cited Legal Scholars
2000
[6]
웹사이트
The Most Important Legal Philosopher of Our Time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3-02-15
[7]
서적
Freedom's Law: The Moral Read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8]
뉴스
Ronald Dworkin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3-02-14
[9]
뉴스
Ronald Dworkin, Scholar of the Law, Is Dead at 81
https://www.nytimes.[...]
2013-02-14
[10]
서적
Freedom's Law: The Moral Read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1]
웹사이트
Dworkin, Ronald Myles (1931–2013), legal and political philosopher
https://www.oxforddn[...]
2024-02-04
[12]
웹사이트
In Memoriam: Ronald Dworkin
https://www.law.nyu.[...]
2024-02-05
[13]
웹사이트
The professoriate | New College of the Humanities
http://www.nchum.org[...]
2011-06-08
[14]
웹사이트
Legal Positiv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Plato.stanford.edu
2003-01-03
[15]
서적
1985
[16]
서적
1986
[17]
웹사이트
Oxford University Press: Constitutional Dilemmas: Lorenzo Zucca
http://www.oup.com/u[...]
Oup.com
2013-02-14
[18]
서적
Hans Kelsen and the Case for Democracy
ECPR Press
2011
[19]
논문
The Core of the case against judicial review
2006
[20]
논문
Equality, Luck and Hierarchy
https://www.jstor.or[...]
2003
[21]
논문
Do Values Conflict: A Hedgehog's Approach
https://heinonline.o[...]
2001
[22]
뉴스
Professor Ronald Dworkin: Legal philosopher acclaimed as the finest of his generation
https://www.independ[...]
2013-02-15
[23]
뉴스
Ronald Dworkin, Legal Scholar, Dies at 81
https://www.nytimes.[...]
2013-02-14
[24]
뉴스
LONDON: US legal scholar Ronald Dworkin dies in UK aged 81
http://www.miamihera[...]
MiamiHerald.com
2013-02-14
[25]
뉴스
Professor Ronald Dworkin
https://www.telegrap[...]
2013-02-15
[26]
웹사이트
In Memoriam: Ronald M. Dworkin
https://www.ali.org/[...]
2013-02-14
[27]
웹사이트
Holberg International Memorial Prize 2007: Ronald Dworkin
http://www.holberg.u[...]
2007-10-02
[28]
논문
Ronald Dworkin's Justice for Hedgehogs and Partnership Conception of Democracy (With a Comment to Jeremy Waldron's 'A Majority in the Lifeboat')
https://scholarship.[...]
Georgetown University Law Center
2010
[29]
웹사이트
COMMENCEMENT 2000: Honorary Degree Recipients – Almanac, Vol. 46, No. 27, 4/4/2000
http://www.upenn.edu[...]
2000-04-04
[30]
웹사이트
Ronald Dworkin '57 receives honorary doctorate from Harvard – Harvard Law Today
http://www.law.harva[...]
2017-05-31
[31]
웹사이트
Ronald Dworkin 1931–2013, Faculty of Law, University of Otago, New Zealand
http://www.otago.ac.[...]
2014-01-24
[32]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28
[33]
뉴스
Consequences
https://www.lrb.co.u[...]
1986-04-17
[34]
뉴스
Reading the law
https://www.lrb.co.u[...]
1986-09-18
[35]
뉴스
The Edges of Life
https://www.lrb.co.u[...]
1994-05-12
[36]
뉴스
What about Bert?
https://www.lrb.co.u[...]
2001-08-09
[37]
논문
Bibliography of Ronald Dworkin's Works
Wiley
2004
[38]
웹사이트
Ronald Dworkin, Legal Scholar, Dies at 81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3-02-14
[39]
간행물
Do Values Conflict? A Hedgehog's Approach
[40]
서적
Liber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1]
웹인용
The most important legal philosopher of our time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3-02-16
[42]
웹인용
Most Cited Law Professors by Specialty
http://www.leiterran[...]
Brain Leiter's Law School Rankings
2007-11-12
[43]
간행물
The Most-Cited Legal Scholars
2000-01
[44]
웹인용
NYU Law Professor Ronald Dworkin Wins Norway's Holberg Prize
https://www.nyu.edu/[...]
New York University
2007-09-17
[45]
웹인용
Ronald Dworkin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2-14
[46]
웹인용
미국 법철학 권위자 로널드 드워킨 교수 별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2-15
[47]
웹인용
In Memoriam: Ronald Dworkin
https://www.law.nyu.[...]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Law
2013-02-14
[48]
웹인용
Ronald Dworkin, Scholar of the Law, Is Dead at 81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02-14
[49]
기타
[50]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